미국
유럽
일본
이스라엘
러시아
|
English
|
디렉토리검색
홈페이지 등록
/
수정
세계산업재산권제도
존속기간자동산출
한국특허검색
미국특허검색
일본특허검색
무료상표조사서비스
특허번역
특허정보조사
특허상품보기
추천특허상품
기술이전장터
기술도입장터
나의 클럽
클럽리스트
클럽만들기
서비스모음
TotalPatCenter
PatDir
PatCalendar
PatDiary
PatNews
PatDic
PatLaw
인사말
업무방침
서비스분야
서비스비용
Hunter 되기
상금 답변하기
상금토론실
상금 등록하기
국내출원
특허출원신청
무료상표조사
유료상표조사
상품분류표
출원비용안내
특허서적 Best10
추천도서
신간도서
장바구니
구매내역
Help Desk
로그인
회원가입
홈등록
이용안내
고객센터
사이트맵
웹사이트명
사이트설명
도메인명
기술이전정보
기술판매 장터
기술도입 장터
대학,연구소 이전기술
이전기술개발사업선도기술
해외도입기술
기술이전 신청서
기술이전 현황보기
기술이전 실적보기
기술이전 중개수수료 안내
이용 안내
지적재산권매매장터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도메인/기타
장바구니
구매내역
비회원주문확인
특허매매 신청
특허매매 리스트
유휴특허 매각
매각특허 리스트
신청하기
특허매각 절차
기술이전 지원
기술거래금융지원제도
기보의 기술이전보증
기술이전 흐름도
기술이전에서 사업화 자금
기술이전관련 정부지원
특허기술이전 프로그램
사이버기술이전시장
기술평가
특허기술의 사업성 평가
자가진단표
특허기술 평가표
특허가치평가
기술료 관리 서비스
기술이전 참관기
2004년
중국 산둥성 기업
기술이전 상담회
2005년
베트남 TechMart
2006년
대한민국 특허기술
이전 박람회
한대양주 기술이전
상담회(호주)
한국/중국/일본 하이테크
비즈니스 포럼
2007년
경기기술이전센터
기술상담회
한대양주 기술이전
상담회(호주)
특허유통페스티발
한-미-유럽
기술사업화 컨퍼런스
2008년
중국 산동성 기업
기술이전 상담회
특허기술이전 상담회
한일중소기업
비지니스 상담회
일한 기술마케팅 상담회
중국공업박람회
2009년
G-TEK 전시회 참가기
기술이전 사업화 및
지역투자유치 설명회
기술이전계약 체결기사
중소기업 기술이전
및 투자 설명회
대기업 미활용특허
기술사업화 설명회
지역특화 기술이전 설명회
한중 사업화 우수
기술이전 상담회
2010년
특허신탁 기술이전 설명회
농업기술실용화재단
업무 협약식
G-TEK 2010 전시회
북경기술이전상담회
제3회 기술금융 사업화
유공자 포상식
이전희망 우수기술
기술이전 설명회
2011년
G-TEK 2011
Q&A
KTTA
한국기술거래협회 회원사
(사)한국기술거래사회
회원사
(사)한국기업기술가치
평가협회 회원사
지식경제부지정
기술거래기관 인증업체
해외 기술마케팅
코디네이터
산업은행 기술거래금융
협력업체
산기협주관 대학,연구소
미활용 기술이전 수행기관
기술거래소주관
기술수요자선행조사 사업자
과기부 프론티어연구성과
전문컨설팅 수행기관
교육과학기술부지정
연구개발서비스업 인증업체
+ Patzine 신청
이름 :
메일 :
개인정보취급
동의
뉴스레터를 보내드립니다.
회원수 :
331040
명
묻고 답하기
답변하기
작성자
E-mail
제목
비밀번호
* 수정, 삭제시 필요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특허옐로우님께서 쓰신내용... > 기술을 처음부터 개발해 시장에 내놓기는 생각보다 무척 힘든 작업이다. 그래서 기술을 원하는 기업들은 연구소에서 이뤄진 연구성과들을 유심히 지켜보다 필요한 기술을 이전받아 연구.개발(R&D)의 어려움을 해소하려는 경향이 크다. > > 이 같은 상황에서 'R&D 매거진' 최근호가 기술을 이전하려는 측이나 받으려는 측 모두 최대 효과를 거둘수 있는 기술이전의 10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 > 1. 기술에 현혹되지 말라 > 아무리 세상을 바꿔놓을 수 있는 기술이라도 시장에 내놓을 단계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비용이 들어간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기계.원자재.포장.검증 등에 투입되는 비용이다. 기술을 이전받은 업체가 상품화에 주력하다 자금이 부족해 도중하차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기술의 가치를 과대평가한 결과다. > > 2. 목표시장을 완전히 이해하라 > 기술을 사들이는 쪽은 그 기술에 의해 만들어질 완제품이 시장에서 어떤 위치에 서게될 지를 분명하게 판단하라는 지적이다. 막연한 기대감에 좌우를 살피지 않은 채 시장에 뛰어들었다가 낭패를 당한 사례가 부지기수다. > > 3. 좋은 인력을 고용하라 > 기술이전을 협상하는 데 있어 기술의 배경에 충분한 지식이 있고 더불어 비즈니스 감각을 갖춘 인재가 반드시 필요하다. 특허와 같은 법률지식도 갖췄다면 금상첨화다. > > 4. '윈-윈(win-win)' 해법을 찾아라 > 기술을 개발한 측은 시장의 요구를 감안해 또 다른 기술개발로 나아갈 필요가 있고, 기술을 사들이는 측은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이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전해주는 정보교류의 장이 필요하다. > > 5. 연구현장은 여전히 활발하다 > 나노기술에 대한 지원이 수많은 신산업을 일궈냈듯이 기술이전 과정에서도 여유를 가져야 한다. 지나친 조급함은 불필요한 기술을 사들일 수 있고 중요한 기술을 쉽게 팔아버릴 수 있다. > > 6. 시장을 테스트하라 > 기술의 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기술의 수혜를 입을 시장의 고객에게 물어보는 것이다. 흔히들 기술을 사들이는 측은 이미 시장조사가 R&D과정에서 끝났다고 판단하기 일쑤다. > > 7. 선택하고 집중하라 > 기술의 상품화에 들어가는 모든 자원을 모니터하면서 필요한 자원을 필요한 시기에 투입할 수 있는지 여부를 따져야 한다. 어떤 것에 우선순위를 둬야 하고, 매일 벌어지는 일과 필수적인 일을 구분해야 한다. > > 8. 법적인 문제를 간과하지 말라 > 기술을 이전받을 때 부수되는 모든 권리를 챙겨야 한다. 그렇지 않고서는 이전받은 기술로 상품화에 전력할 수 없는 상황이 올 수 있다. > > 9. 법제를 이해하라 > 지금까지 기술이전에 관련된 수많은 법률이 통과되고 폐기됐다는 역사성을 이해해야 한다. 심층적인 사례 연구로 어려운 상황에서 구제를 받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 > 10. 모든 자원을 동원하라 > 기술이전이 일반화되면서 수많은 정보가 곳곳에 널려 있다. 각종 협회나 기술거래소는 물론 각종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필요한 자료와 재원을 끌어모아야 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광고 및 이벤트 문의
|
사업제휴
|
회사소개
|
홈페이지 제작/특허 e-biz
◇ 사업자등록번호 : 220-81-74162 (주)도원닷컴 ◇ 대표 : 김수천 ◇ 통신판매업 신고 강남-1025호
◇ 주소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24-11 한라클래식 6층 604호 ◇ TEL : 02-501-3106
dowon.com
|
dowon.co.kr
|
ktt114.kr
Copyright ⓒ 2001
Dowon International.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DOWON.NET